얼마 전 지인분 10대 자녀가 대상 포진에 걸렸다는 얘기를 듣고 너무 놀랐는데요.
50대 이상에게 많이 걸려서 10대는 생각도 못 했거든요
몇 년 전 시댁 외가 쪽 어르신이 대상 포진 이후 건강이 악화하여 돌아가셨던 생각이 나 많이 걱정스러웠습니다.
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, 수두에 걸린 후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어 발생합니다.
수두를 앓고 나면, 바이러스는 신경 세포에 잠복하고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을 일으킵니다.
대상포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수포를 형성하는 특징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며, 상당히 고통스러운 질환입니다. 이 질환에 대한 이해는 예방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1. 대상포진의 발생 연령
대상포진은 주로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지만, 면역력이 약해진 사람이라면 젊은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수두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는 신경 세포는 대부분 어린 시절 수두에 걸린 후 체내에 남아있기 때문에, 수두를 앓은 적이 있는 사람이 대상포진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.
- 50대 이상: 나이가 많을수록 면역력이 자연스럽게 약해지며, 대상포진의 발생률이 높습니다.
- 면역 억제 상태: 면역억제 치료를 받거나, HIV, 암 치료 등으로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도 대상포진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.
- 스트레스와 피로: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되면 대상포진에 걸리기 쉽습니다.
2.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
초기 증상
- 통증: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통증입니다. 보통 한쪽 몸의 특정 부위에서 통증이 시작되며, 이는 신경에 관련된 부위에서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옆구리, 배, 얼굴 등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따끔거림, 저림, 가려움: 통증 외에도 따끔거림, 저림, 가려움 등의 감각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- 발열, 두통, 피로감: 일부 사람들은 발열이나 두통, 피로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 증상들은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.
피부 발진
- 초기에는 빨갛고 가려운 발진이 나타나며, 시간이 지나면서 수포가 생깁니다. 이 수포는 보통 2~3일 내에 발생하고, 그 후에는 터져서 고름이 나오고 딱지가 형성됩니다.
- 발진은 일반적으로 한쪽 면에만 나타나며 특정 신경에 따라 부위가 달라집니다. 예를 들어, 얼굴에 나타날 경우 눈이나 입 주위에 나타날 수 있고, 몸통이나 팔, 다리 등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합병증
- 포진 후 신경통: 대상포진 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은 포진 후 신경통입니다. 발진이 가라앉은 후에도 몇 주에서 몇 개월간 신경통이 지속될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극심한 통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.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이 합병증이 더 자주 발생합니다.
- 눈, 귀 합병증: 눈에 발진이 생기면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귀에 발진이 생기면 청력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
3. 대상포진의 치료 방법
대상포진은 대개 약물 치료와 통증 관리로 치료됩니다.
항바이러스제
- 대상포진 치료의 핵심은 항바이러스제입니다.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여 증상의 지속 기간을 줄이고,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치료는 발진이 나타나기 시작한 후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, 보통 7일 정도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합니다.
진통제
- 통증 완화는 대상포진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. 초기에 발생하는 심한 통증에 대해 진통제나 신경통용 약물을 사용하여 통증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국소 치료
- 발진 부위에는 연고나 크림을 바르거나 냉찜질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피부의 가려움증이나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4. 대상포진의 예방
예방접종
- 대상포진 백신은 대상포진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특히 50세 이상은 대상포진 백신을 맞는 것이 권장됩니다. 백신은 대상포진의 발생을 예방하거나, 발생하더라도 증상을 경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대상포진을 예방하려면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 규칙적인 운동, 균형 잡힌 식사,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. 또한, 수두를 앓은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상포진 백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
대상포진은 조기 치료가 중요한 질환으로,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지면 대부분 회복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신경 통증이나 합병증이 남을 수 있으므로 예방이 더 중요합니다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텝퍼 운동 (48) | 2025.04.03 |
---|---|
눈 밑 떨림의 원인과 치료 방법 (67) | 2025.03.13 |
암 예방을 위한 건강한 습관 만들기 (35) | 2025.03.08 |
맨발 걷기의 놀라운 건강 회복 효과 (31) | 2025.02.28 |
자기 전 침대에서 할 수 있는 10분 운동 (19) | 2025.02.08 |